cvt 변속기(무단 변속기)를 알아볼까요?
1. 정의
오토미션(자동미션)의 한 종류입니다. 보통의 오토미션은 기어 단을 자동으로 바꾸어주는 것인데 이 cvt 변속기는 단계식이 아닌 연속식입니다. 그래서 이 cvt변속기를 무단변속기라고도 불리는 것이지요.
2. 장점
일단 기어단을 바로 그리고 직접 변속하는 것이기 때문에 자동차에서 꿀렁하는 느낌인 변속충격이 거의 없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기존의 자동 변속기와 같이 복잡한 구조가 아닌 구조의 단순성으로 인하여 고장이 거의 없습니다. 또한 연비가 좋은것도 장점이지요. 그리고 기존의 변속기보다 변속 모듈 자체의 크기가 소형이라 작은차(경차, 소형차)에 적용하기 쉽습니다. 덕분에 우리나라에서도 소형 suv에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트레일블레이저, 베뉴 등)
3. 단점
아까 서술한 바와 같이 장점에서 고장이 거의 없다고 말씀드렸는데 이는 이론적인 관점이고 대부분의 제조사에서 문제가 되었던 바는 내구성 문제였습니다. 국내에서는 예전 gm대우시절 중량과 엔진에 맞지 않는 cvt를 채택한 1세대 마티즈의 문제가 컸습니다. 그리고 cvt미션의 문제라고 일반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점 중 하나는 바로 변속 즈음에서의 이상한 느낌입니다. 일단 자동변속기의 경우 엔진 rpm을 기초로 가감속, 변속을 이루는 것과는 달리 cvt변속기의 경우 rpm과는 무관하게 변속을 시키는 경향이 있어 차가 안나가는 느낌이 생기게 됩니다. 이런 이질감이 예전 cvt 차량을 탔었던 분들의 공통적인 느낌이었지요 덧붙여 엔진의 rpm에 따라 변화가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차가 앞으로 나아가는 느낌 대비해서 운전자가 느끼는 가속감이 많이 떨어지는 것도 단점입니다.
4. 적용
국산차에서는 꾸준히 하위라인업에 cvt변속기를 추가시켰고 2018 풀체인지 k3에 새롭게 cvt가 적용되었습니다. 기존 cvt 대비해서 이질감을 줄이고 변속감을 차에서 구현해내어서 괜찮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2020년에 새롭게 출시된 아반떼도 cvt변속기를 탑재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연비에서 좋은 효율을 보여주는 터라 경제적인 접근이 필요한 소형차 등에서 앞으로 많이 쓰일 것으로 보입니다.
'자동차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8 |
---|---|
멀티링크 서스펜션(더블위시본)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8 |
토션빔 서스펜션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DCT(듀얼클러치 변속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GDI 엔진을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