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개념

DCT(듀얼클러치 변속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by 남하늘. 2020. 5. 27.
반응형

DCT(듀얼클러치 변속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정의

말 그대로 클러치를 2개 사용하는 변속기를 의미합니다. 2개의 변속기가 짝수/홀수의 기어단에 따라서 체결이 되기 때문에 사실은 2개의 변속기가 1개의 샤프트에 연결되어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듀얼 클러치 변속기는 건식/습식으로 구분되는데 건식의 경우 오일보다는 공기를 사용하여 클러치의 열을 떨어뜨리기 때문에 냉각 효율 및 내구성에 단점을 보입니다. 하지만 단순한 구조 및 단가의 문제로 제조사들이 좋아하는 방식이기도 합니다. 습식은 오일을 사용하는 방식인데 클러치의 냉각이 잘 되고 동력손실이 적습니다. 덕분에 고성능차량에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2. 장점

2개의 변속기가 달려 있기 때문에 하나는 다른 한쪽이 체결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도 계속 준비단계에 있습니다. 그래서 기존의 방식보다 동력의 손실이 더 적은 장점이 있습니다. 게다가 이미 체결되어있는 한쪽의 변속기 말고 다른 한족의 변속 클러치가 준비를 하고 있기 때문에 변속시의 변속충격이 거의 없고 빠르며 부드러운 체결감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어를 넣었을 때 바로바로 달라붙는 느깜의 변속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3. 단점

2개의 변속기가 달려있다고 생각하시면 말 그대로 고장도 2배라고 생각하시면 되겠지요. 그 말인 즉 내구성에 이슈가 있습니다. 게다가 차량 구조 또한 2배로 복잡해지며 무단변속기에 대비하여 무게/부피측면에서 증가하게 됩니다. 게다가 이 듀얼클러치변속기는 단가도 비싼데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미션수리 비용을 훨씬 상회합니다. 기존 오토 미션이 200만원선인데 비해 수입차의 경우 듀얼클러치 미션이 적용된 차량이 고장날 경우 600~700정도의 수리비가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국산 dct 적용 차량도 350이상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경제적인 이유로 기피하는 경우가 있지요.


4. 적용

국산차에도 슬슬 dct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이번에 새롭게 출시된 쏘렌토의 경우 8단 습식dct가 적용되어 있는데 가족용 패밀리 suv에 습식 dct가 적용되어 환호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오래 타야하는 패밀리카 특성상 내구성에 대해 걱정하시는 분들도 많습니다. 이 밖에 아반떼, i30, 투싼, 베뉴, k3, 니로 등에서 건식 dct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