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개념

멀티링크 서스펜션(더블위시본)에 대해 알아볼까요?

by 남하늘. 2020. 5. 28.
반응형

멀티링크 서스펜션(더블위시본)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정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에 대해 정의내리려면 먼저 더블위시본 구조를 알아야 하는데 한마디로 정의하면 독립식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퀴 축의 위와 아래에 암과 댐퍼가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으로 바퀴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이 모양이 새의 뼈와 비슷해서 위시본이라고 불리우는데 2개가 있어서 더블위시본이라고 불립니다. 이 더블위시본 형태의 암을 벤츠가 두 개의 링크로 나누어 개발하였는데 멀티링크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조사에 따라 더블위시본이라고 표기하기도 하고 멀티링크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2. 장점

일단 바퀴가 독립된 여러개의 링크와 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 및 배치가 자유롭고 얼라이먼트 정비 용이성이 좋습니다. 서스펜션 구조 중에서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노면을 따라가는 능력이 좋아서 뒷바퀴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말을 풀어 설명하면 코너에서 자동차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벌어져도 바퀴는 바닥에 접지력을 잃지 않는다는 점이 되겠지요. 덕분에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단점

토션빔과 달리 여러개의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 빔을 연결하는 관절 역할을 하는 부싱이 많고 이 부싱은 외부 충격에 취약합니다. 이로 인해 직진성인 휠 얼라이먼트가 자주 틀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덧붙여서 복잡하고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제작단가가 높아서 주로 중형이상의 세단, 고급차에 적용되는 형태입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자면 비싸다 라고 정의할 수 있겠네요

 

4. 적용

국내에서는 중형 이상급의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쏘나타 및 그랜저 이상의 세단에서는 거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력이 높은 고성능 세단에서 전륜구동의 형태일 경우 앞바퀴를 노면과 밀착시키기 위해서 멀티링크 형태가 쓰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다 전륜기반의 차량이 많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잘 닦여진 도로에서는 일반인의 경우 토션빔과 차이를 크게 느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