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링크 서스펜션(더블위시본)에 대해 알아볼까요?
1. 정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에 대해 정의내리려면 먼저 더블위시본 구조를 알아야 하는데 한마디로 정의하면 독립식 구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바퀴 축의 위와 아래에 암과 댐퍼가 연결되어 있고 스프링으로 바퀴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이 모양이 새의 뼈와 비슷해서 위시본이라고 불리우는데 2개가 있어서 더블위시본이라고 불립니다. 이 더블위시본 형태의 암을 벤츠가 두 개의 링크로 나누어 개발하였는데 멀티링크의 시작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제조사에 따라 더블위시본이라고 표기하기도 하고 멀티링크라고 표기하기도 합니다.
2. 장점
일단 바퀴가 독립된 여러개의 링크와 암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설계 및 배치가 자유롭고 얼라이먼트 정비 용이성이 좋습니다. 서스펜션 구조 중에서 가장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노면을 따라가는 능력이 좋아서 뒷바퀴에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 말을 풀어 설명하면 코너에서 자동차가 기울어지는 현상이 벌어져도 바퀴는 바닥에 접지력을 잃지 않는다는 점이 되겠지요. 덕분에 안정성 또한 우수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단점
토션빔과 달리 여러개의 독립된 형태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각 빔을 연결하는 관절 역할을 하는 부싱이 많고 이 부싱은 외부 충격에 취약합니다. 이로 인해 직진성인 휠 얼라이먼트가 자주 틀어지는 모습을 보입니다. 덧붙여서 복잡하고 크기 때문에 공간을 많이 차지하고 있으며 제작단가가 높아서 주로 중형이상의 세단, 고급차에 적용되는 형태입니다. 경제적인 측면에서 접근하자면 비싸다 라고 정의할 수 있겠네요
4. 적용
국내에서는 중형 이상급의 차량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습니다. 쏘나타 및 그랜저 이상의 세단에서는 거의 멀티링크 서스펜션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출력이 높은 고성능 세단에서 전륜구동의 형태일 경우 앞바퀴를 노면과 밀착시키기 위해서 멀티링크 형태가 쓰이는데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다 전륜기반의 차량이 많기 때문에 대중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잘 닦여진 도로에서는 일반인의 경우 토션빔과 차이를 크게 느낄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자동차 개념' 카테고리의 다른 글
MDPS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8 |
---|---|
언더스티어/오버스티어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8 |
토션빔 서스펜션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DCT(듀얼클러치 변속기)에 대해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cvt 변속기(무단 변속기)를 알아볼까요? (0) | 2020.05.27 |
댓글